[Compose] viewModel() vs hiltViewModel()
들어가며: viewModels()
viewModels()
우리는 기존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각 화면에서 viewModels
를 이용해 손쉽게 viewModel을 생성할 수 있었다. 이때 생성된 viewModel은 생성한 컴포넌트(activity, fragment..)의 생명주기를 따랐었다.
그렇다면 compose에서도 이렇게 viewModel를 생성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존재할까??
viewModel()
class MyViewModel : ViewModel() { /*...*/ }
// import androidx.lifecycle.viewmodel.compose.viewModel
@Composable
fun MyScreen(
viewModel: MyViewModel = viewModel()
) {
// use viewModel here
}
기존과 마찬가지로 viewModel()
을 통해서 손쉽게 composable함수에서 viewModel을 생성할 수 있다.
⛔️ 이때 lifecycle
과 관련해 주의할 점이 있다!
- screen-level composable 함수에서 viewModel()을 사용하자!
- 이렇게 생성한 viewModel을 하위 composable 함수에 pass down하지 말자.
hiltViewmodel()은 뭔데??
공식 문서를 보면 hiltViewModel()
이라는 것도 존재한다.
그렇다면 viewModel()과 차이점이 뭘까?? 우선 scope에 존재하는 viewModel을 반환하거나 해당하는 viewModel이 없을 경우, 새로운 viewModel을 생성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차이점을 알아보자!
viewModel / hiltViewModel 내부 코드 확인!!
1. 우선 viewModel부터! |
@Suppress("MissingJvmstatic")
@Composable
public inline fun <reified VM : ViewModel> viewModel(
viewModelStoreOwner: ViewModelStoreOwner = checkNotNull(LocalViewModelStoreOwner.current) {
"No ViewModelStoreOwner was provided via LocalViewModelStoreOwner"
},
key: String? = null,
factory: ViewModelProvider.Factory? = null,
extras: CreationExtras = if (viewModelStoreOwner is HasDefaultViewModelProviderFactory) {
viewModelStoreOwner.defaultViewModelCreationExtras
} else {
CreationExtras.Empty
}
): VM = viewModel(VM::class.java, viewModelStoreOwner, key, factory, extras)
여기서 viewModelStoreOwner값을 살펴보자! viewModel에서는 기본값으로 LocalViewModelStoreOwner.current
를 사용한다. 해당 값을 쭉쭉 따라가다 보면 결국 최상위 View를 owner로 지정하는 것
을 알 수 있다.
2. hiltViewModel의 경우는? |
@Composable
inline fun <reified VM : ViewModel> hiltViewModel(
viewModelStoreOwner: ViewModelStoreOwner = checkNotNull(LocalViewModelStoreOwner.current) {
"No ViewModelStoreOwner was provided via LocalViewModelStoreOwner"
},
key: String? = null
): VM {
val factory = createHiltViewModelFactory(viewModelStoreOwner)
return viewModel(viewModelStoreOwner, key, factory = factory)
}
@Composable
@PublishedApi
internal fun createHiltViewModelFactory(
viewModelStoreOwner: ViewModelStoreOwner
): ViewModelProvider.Factory? = if (viewModelStoreOwner is HasDefaultViewModelProviderFactory) {
HiltViewModelFactory(
context = LocalContext.current,
delegateFactory = viewModelStoreOwner.defaultViewModelProviderFactory
)
} else {
// Use the default factory provided by the ViewModelStoreOwner
// and assume it is an @AndroidEntryPoint annotated fragment or activity
null
}
hiltViewModel에서도 viewModel을 가져다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viewModel을 생성할 때 전해주는 factory이다.
createHiltViewModelFactory를 살펴보자! 여기서 viewModelStoreOwner
가 HasDefaultViewModelProviderFactory
를 구현했느냐에 따라서 factory값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HasDefaultViewModelProviderFactory를 구현하는 component로는 activity, fragment 등이 있다.
결국, HasDefaultViewModelProviderFactory를 구현하는 경우 해당하는 component의 스코프에 따라
viewModel이 생성되게 되고, 그게 아니라면 기존 viewModel()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결론이 뭔데??
그렇다면 우리가 내부 코드를 통해 알아낸 것을 요약하면 다음 한 줄이다.
viewModel()은 최상위 view의 scope를 따라 vieweModel이 생성된다. |
hiltViewModel()은 최상위 view가 아닌 hiltviewModel을 호출한 component scope에 따라 viewModel()을 생성된다. |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