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M] Server Driven UI - 실습
이번 실습 게시글을 보기 전, 왜 server-driven-ui를 사용해야 하는지를 확실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그에 대한 내용은 다음 게시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 파싱하고자 하는 Json
하나의 View에 대한 파싱을 진행할 때는 정해진 DTO, VO가 있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만약 a/b Test로 server-driven-ui를 하게 된다면 어떠한 뷰를 그려야 할지 클라이언트에서는 알 수가 없다.
다음의 Json을 파싱한다고 해보자!
{
"viewItems": [
{
"viewType": "AViewType",
"content": {
"title": "This is A ViewType",
"iconUrl": "https://avatars.githubusercontent.com/u/103282546?s=200&v=4\"
}
},
{
"viewType": "BViewType",
"content": {
"title": "This is B ViewType"
}
}
]
}
내려오는 viewType에 따라 content에 맞게 커스텀 파싱 로직이 필요해진다.
여기서 사용하는 것이 바로 JsonDeserializer
이다. 이를 통해 Json 속 viewType을 가져오고 이에 맞는 DTO를 선택하면 된다.
이제부터 server-driven-ui를 진행하기 위해 구현해야 하는 코드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서 새로운 viewType이 추가되었을 때 수정해야 하는 부분을 함께 카운트해볼 것이다.(새로운 viewType 추가를 위해 얼마나 많은 코드 변화가 필요한지가 핵심이므로!)
🤨 DTO, VO 생성: Common
우선 json 파싱에 사용될 DTO, VO가 필요하다. 처음에는 단순히 AViewType, BViewType DTO, VO를 각각 생성하면 된다 생각했다. 하지만 바로 해당 코드를 구현하기 전에 json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자!!
{
"viewType": "BViewType",
"content": {
"title": "This is B ViewType"
}
}
json을 살펴보면 다음의 구조가 리스트 형태로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틀에 대한 DTO, VO를 생성해야 할 것이다. (Common DTO, Common VO)
//CommonVO
data class CommonVO(
val viewType: String,
val content: ContentVO
)
//CommonDTO
data class CommonDTO(
val viewType: String?,
val content: ContentDTO?
) {
fun toVO(): CommonVO {
return CommonVO(
viewType = findClassByItsName(viewType),
content = content?.toVO() ?: throw IllegalStateException("content cannot be null")
)
}
}
여기서 하나 집고 갈 부분! 보통 DTO, VO를 따로 구현하지만 그 내용은 같은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럼 왜 굳이 분리해서 구현해야 할까? 그렇다!
🤨 DTO, VO 생성: Content
그렇다면 이제는 viewType에 따라 달라지는 content에 대한 두가지 DTO, VO를 생성해야 한다. 우리가 하려고 하는 것은 JsonDeserializer를 통해 Json에서 viewType을 가져오고 그에 맞게 content에 해당하는 DTO로 변환해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 AViewType과 BVieweType은 같은 Type이어야 한다. 여기서 우리는 interface
, enum
, sealed class
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interface
와 sealed class
를 활용하는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enum은 그게 어렵다. 우리는 보통 enum을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
enum class Color(val rgb: Int) {
RED(0xFF0000),
GREEN(Ox00FF00)
BLUE(...)
}
이렇게 각 요소가 모든 같은 파라미터 변수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우리가 생성하고자 하는 AViewType, BViewType은 서로 다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enum을 적용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enum은 프로퍼티로 data class를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게시글에서는 sealed class
를 적용하고자 한다. 우선 sealed class는 간단히 어떤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를 함께 정의한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조금 더 자세한 것은 아래 코드를 통해 이해해보자!
//ContentVO
//✅새로운 viewType이 들어올 때마다 생성해야 함 +1
sealed class ContentVO {
data class AContent(
val title: String,
val imageUrl: String
): ContentVO()
data class BContent(
val title: String
): ContentVO()
object UnknownType: ContentVO()
}
sealed class ContentDTO {
//✅새로운 viewType이 들어올 때마다 생성해야 함 +2
data class AContent(
val title: String,
val imageUrl: String
) : ContentDTO() {
override fun toVO(): ContentVO.AContent {
return ContentVO.AContent(
title = title,
imageUrl = imageUrl
)
}
}
data class BContent(
val title: String
) : ContentDTO() {
override fun toVO(): ContentVO.BContent {
return ContentVO.BContent(
title = title
)
}
}
object UnknownType : ContentDTO() {
override fun toVO() = ContentVO.UnknownType
}
//확장 함수로 정의해둔 toVO 활용
open fun toVO(): ContentVO {
return this.toVO()
}
}
- AType, BType 이외에 UnknownViewType을 생성해 알지 못하는 ViewType이 들어와도 에러가 나지 않도록 한다.
- Type에 맞는 ViewHolder를 반환해주면 되지 않을까?
- domain에서 활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Android와 관련된 정보는 넣지 못한다.
🤨 JsonDeserializer
이제는 위에서 언급했던 JsonDeserializer
를 구현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해야 할 것은 type에 맞게 알맞은 ContentType가 들어있는 CommonDTO를 get하는 것!
class ViewTypeDeserializer : JsonDeserializer<CommonDto> {
override fun deserialize(
json: JsonElement?,
typeOfT: Type?,
context: JsonDeserializationContext?
): CommonDto {
val jsonObject = json?.asJsonObject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Json Parsing 실패")
val viewType = jsonObject["viewType"].asString
val content = jsonObject["content"].asJsonObject
//해당하는 타입에 맞는 ContentDTO를 얻게 된다.⭐️
val contentDTO: ContentDTO = when (findClassByItsName(viewType)) {
AViewType -> parseAContent(content)
BViewType -> parseBContent(content)
UnknownViewType -> parseUnknownContent()
}
return CommonDto(viewType, contentDTO)
}
private fun parseAContent(contentJson: JsonObject): ContentDTO.AContent {
val title = contentJson["title"].asString
val imageUrl = contentJson["iconUrl"].asString
return ContentDTO.AContent(title, imageUrl)
}
private fun parseBContent(contentJson: JsonObject): ContentDTO.BContent {
val title = contentJson["title"].asString
return ContentDTO.BContent(title)
}
private fun parseUnknownContent(): ContentDTO.UnknownType {
return ContentDTO.UnknownType
}
}
그렇다면 이렇게 정의한 ViewTypeDeserializer를 활용해야 한다!
@Provides
@Singleton
fun providesLGTMRetrofit(okHttpClient: OkHttpClient): Retrofit =
Retrofit.Builder()
.baseUrl(...)
.client(okHttpClient)
.addConverterFactory(
GsonConverterFactory.create(
GsonBuilder()
.registerTypeAdapter(CommonDto::class.java, ViewTypeDeserializer())
.create()
)
)
.addConverterFactory(GsonConverterFactory.create())
.build()
즉, retrofit 객체를 얻을 때 registerTypeAdapter
를 통해 JsonDeserializer를 등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여기까지 진행했다면 우리가 원하는 viewType에 맞는 CommonDTO를 받게 된다. 이제는 본격적으로 이를 활용해야 한다. 그렇다면 그에 맞는 ViewHolder
, RecyclerViewAdapter
가 필요하다.
🤨 ViewHolder 생성
우선 AType, BType, UnknownType에 필요한 xml을 모두 정의했다고 가정하자! 그럼 각 Type에 활용될 ViewHolder를 선언해야 한다. 이때 abstract class
를 활용할 수도 있고, sealed class
를 활용할 수도 있다. 나는 두 클래스 모두 많이 사용해본 경험이 없어 두 방식의 차이를 명확히 알고 싶어 구글링을 해보았고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았다.
- abstract class vs sealed class
- 큰 차이: 구현체가 같은 패키지에만 있어야 하나
- 멀티모듈에서 여러 패키지에서 구현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면
abstract class
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
- 추가 interface vs abstract class
- 큰 차이: 공통된 구현 코드가 있는가, 아님 행위만을 구정하는가
- 공통된 구현 코드가 있다면
abstract class
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그렇다면 우리는 하나의 패키지내에서 활용할 viewHolder들을 만들기 때문에 sealed class
를 활용해보도록 하자!!
sealed class CommonViewHolder(
binding: ViewDataBinding
): RecyclerView.ViewHolder(binding.root) {
abstract fun bind(item: ContentVO)
//✅새로운 viewType이 들어올 때마다 생성해야 함 +3
Class ATypeViewHolder(
private val binding: ItemtSduiABinding
): CommonViewHolder(binding) {
override fun bind(data: ContentVO) {
data as ContentVO.AContent
binding.data = data
Glide.with(binding.root)
.load(data.imageUrl)
.into(binding.ivImage)
}
}
Class BTypeViewHolder(
private val bidning: ItemSduiBBinding
): CommonViewHolder(binding) {
override fun bind(data: ContentVO) {
data as ContentVO.BContent
binding.data = data
}
}
Class UnknownViewHolder(
binding: ImtemSduiUnknownBinding
): CommonViewHolder(binding) {
override fun bind(data: ContentVO) {
override fun bind(data: ContentVO) {
/*no-op*/
}
}
}
}
🤨 CommonAdapter + Enum Class(ViewType)
그러면 이제 넘겨진 데이터를 타입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ViewHolder로 bind해주는 adapter를 구현할 차례이다. 우선 ListAdapter
를 상속해 Adapter를 구현하게 되면 onCreateViewHolder
함수를 오버라이드하게 된다. 이때 들어오는 파라미터 중 viewType
이라는 값이 있는데 여기에는 각 viewType에 해당하는 숫자가 부여된다. 따라서 우리는 ViewType에 대한 하나의 숫자값이 부여될 수 있도록 enum 클래스로 Type을 정의해둬야 한다.
위 코드 중 함수 findClassByItsName
를 보았을 것이다. 그에 대한 내용도 아래 코드를 참고하길 바란다.
Enum class ViewType {
//✅새로운 viewType이 들어올 때마다 생성해야 함 +4
AViewType,
BViewType,
UnknownType;
companion object {
fun findClassByItsName(viewTypeString: String?): ViewType {
values().find { it.name == viewTypeString }?.let {
return it
} ?: return UnknownType
}
fun getViewTypeByOrdinal(ordinalNum: Int): ViewType {
return values()[ordinalNum]
}
}
}
그렇다면 위에서 정의한 getViewTypeByOrdianl
을 이용해 CommonAdapter를 정의해보자! 그 전에! 아마 각 viewType마다 해당하는 adapter를 만들면 되지 않나? 생각하는 분들이 분명 있을 것이다. 이미 이전 단계에서 해당하는 ViewType이 무엇인지를 알아냈고, adapter에서는 그에 맞는 viewHolder를 골라 bind만 해주면 된다. 따라서 commonAdapter를 하나만 두어도 된다!
class CommonAdapter: ListAdapter<CommonVO, CommonViewHolder>(
ItemDiffCallback<CommonVO>(
onContentsTheSame = {old, new -> old == new},
onItemsTheSame = {old, new -> old == new}
)
) {
override fun onCreateViewHolder(parent: ViewGroup, viewType: Int): CommonViewHolder {
return getViewHolder(parent, ViewType.getViewTypeByOrdinal(viewType))
}
override fun onBindVIewHolder(holder: CommonViewHolder, position: Int) {
holder.bind(getItem(position).content)
}
override fun getItemViewType(position: Int): Int {
return getItme(position).viewType.ordinal
}
}
😌 정리
SDUI의 개념을 학습하고 이를 직접 코드로 적용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헷갈렸다. 또한, 팀원들과 협업하며 코드를 함께 작성하다 보니 평소 내가 짜던 코드 스타일과 달라 헷갈리는 부분이 더 많았던 것 같다. 추후 내가 직접 해당 부분을 구현해보며 그 과정을 조금 더 명확히 익혀야 겠다.
마무리 하기 전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하나 있다!! 바로 위에서 계속 counting했던 새로운 Type이 들어오면 변경해야 할 부분이다! 여기서는 총 4부분을 수정해야 했다! SDUI의 목적은 새로운 변화에서 코드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었던 것을 기억할 것이다! 그렇다면 위 방식보다 코드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는 방식이 있을까? 다음 시간에는 멘토님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어느 부분을 추가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지를 다뤄보도록 하겠다!
댓글남기기